컴퓨터 네트워크(1)

1. 데이터 전송 시 고려 사항에 대한 3가지

감쇄(attenuation)

데이터가 전송 도중 흡수, 열에 의해서 변화가 돼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에너지손실


왜곡(distortion)

링크상에서의 전파현상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르게 감쇄, 지연되어 수신 신호
전송 신호와 다르게 되는 현상


잡음(noise)

도전체에서 전자열운동으로 인한 광자수의 불확실함으로 발생



2. 프레임(Frame)에 대해서 서술

프레임이란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단위

  • 프레임의 기본 구성은 목적지 주소, 전송 측 주소, 유료부하 혹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으로 나뉨



3.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 3가지를 서술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 – 무엇을(구문), 어떻게(의미), 언제(타이밍)

  • 구문이란 데이터의 형식을 의미, 부호화 및 신호의 크기 등 요소 포함

  • 의미란 특정 데이터 형식에는 어떻게 처리할지? 등에 관한 전송의 조정 및 오류 등 요소 포함

  • 타이밍이란 언제 데이터를 전송?, 얼마나 빠른 속도로 전송? 과 같은 내용 포함



4. OSI 7계층에 대해서 나열하고 간략하게 각 계층마다 설명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을 도와 데이터통신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물리적인 연결 설정과 유지 및 해제 기능과 관계됨


데이터링크 계층

물리 계층을 이용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수단을 제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을 이용해 시스템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경로배정, 중계기능, 흐름제어, 오류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


수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독립적으로 프로세스 상호 간의 신뢰성 있는 완전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제공


세션 계층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동작되고 있는 두 개의 응용 계층 프로토콜 개체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대화를 관리, 조정


표현 계층

두 사용자 응용 프로세스 간에 교환될 데이터의 형식과 관련되며,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호 동의하고 이해하는 형식으로 협상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


응용 계층

OSI 참조모델의 최상위 계층

자원 결정, 구문 확인, 정보처리 및 프로세스 간의 인터페이스, 데이터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응용 기능 제공



5. OSI 모델과 TCP/IP 네트워크 모델을 비교

OSI 모델7계층인 반면에 TCP/IP 네트워크 모델 5계층이다.

TCP/IP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요청하면 서버가 응답(제공) 한다. 반면 OSI개념 모델이다.

TCP/IP는 모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이지만 OSI는 프로토콜이 아니라 시스템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사용되는 참조 모델이다.



6. TCP/IP 모델 5계층에 대해서 나열하고 간략하게 각 계층마다 설명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특정한 프로토콜은 규정하고 있지 않음


네트워크 계층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이며 프로토콜로 ARP, RARP, ICMP, IGMP 등 이 있음


수송 계층

OSI 모델의 수송 계층이며 프로토콜로 ` TCP, UDP, SCTP`가 있음


응용 계층

TCP/IP 네트워크 모델에서는 OSI 모델의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을 모두 결합하여 하나의 응용 계층이 되었음



7. 회선제어 기능에서 ENQ/ACK 기법에 대해서 그림을 그려 설명

ENQ/ACK 기법 : 전용 전송 링크로 구성된 스테이션 사이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

EMB00004a2c522d



8. 폴링기법에서 선택(Select)모드와 폴(poll)모드에 대해서 그림을 그려 비교 설명

폴링기법 : 하나의 스테이션을 주 스테이션, 나머지는 종속 스테이션

선택모드는 직접 선택해서 주는것, 폴모드는 전체에 보낼 데이터 여부 확인 후 데이터 전송

EMB00004a2c522f



9. 정지-대기 ARQ 에 대해서 설명

데이터 전송 시 프레임이 손상되었거나 분실되었을 때 재전송을 하는 과정이다

정지-대기 ARQ 재전송 절차

  1. 전송 스테이션은 전송한 프레임의 ACK를 받을 때까지 프레임의 복사본을 유지

  2. 식별을 위해 데이터 프레임과 ACK 프레임은 각각 0, 1의 값으로 번호 부여
  3. 만약 프레임에서 오류제어가 발견되면 NAK 프레임이 반환되고, 이에 따라 전송 측은
    복사해두었던 동일한 프레임을 재전송

  4. 전송장치에는 타이머가 있어서 주어진 시간 내에 ACK가 오지 않으면 재전송



10. HDLC 프레임 형식에 대해서 그림을 그리고 각 부분으로 설명

EMB00004a2c5230


플래그는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고, 8비트 고유의 패턴으로 구성

주소목적지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데 사용

제어는 정보 전송, 오류 제어, 링크 연결 및 해제를 하는 I-프레임, S-프레임, U-프레임이 구성

정보는 우리가 실제로 사용할 정보들을 패킷으로 가지며 ` I-프레임, U-프레임`이 구성

FCS는 플래그를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의 bit들로 계산된 HDLC의 오류 검출 코드이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