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2)

1. LAN 토폴로지 3가지를 그림과 함께 설명

EMB00004664540bEMB00004664540dEMB00004664540f


성형 - 각 노드가 허브와 같은 중앙 노드직접 연결되는 형태

버스형하나의 긴 케이블이 네트워크상의 모든 장치를 연결하는 중추 네트워크의 역할을 하는 형태

링형닫힌 원의 형태로 구성되며, 링크한방향 전송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



2. ATM 셀 구조를 그리고 설명

EMB000046645411


ATM셀은 48바이트 사용자 데이터영역 부분과 전송 시 필요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5바이트 헤더로 구성

1) 일반 흐름제어 – 네트워크에서 흐름제어를 위해 사용
2) 가상경로 식별자 – 다수의 가상채널을 모아서 하나의 가상경로를 구성
3) 가상채널 식별자 – ATM셀이 ATM스위치를 거칠 때 사용되는 채널이 가상채널을 식별
4) 사용자 데이터 형태 식별자 – 동일한 가상회로사용자 데이터를 구별
5) 셀 손실 우선권 – 어떤 셀을 우선적으로 폐기할 것인가 나타낸 영역
6) 헤더 오류제어 – ATM셀의 헤더의 오류제어 기능 수행



3. 웹서비스의 종류 9가지를 간단히 설명

이메일, 웹 메일, 파일 및 정보검색, 메뉴 방식의 정보검색, 와이즈(WAIS), 파일전송(FTP), 원격접속, 지구촌 전자게시판(유즈넷), 인터넷 대화(IRC)

1) 이메일 – 인터넷상에서 수신자에게 편지나 문서 전송

2) 웹 메일 –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설계된 이메일 서비스

3) 파일 및 정보검색 – 인터넷의 수많은 파일, 정보들을 제공

4) 메뉴 방식의 정보검색 – 쉽게 원하는 검색정보 제공

5) 와이즈 – 문서 색인을 사용해 필요한 문서를 제공

6) 파일전송 –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들을 위한 FTP서비스와 모든 사용자에게 개방하는 익명 FTP서비스를 제공

7) 원격접속 – 물리적으로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를 사용하게 제공

8) 지구촌 전자게시판 – 특정 주제에 대해 토론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

9) 인터넷 대화 – 인터넷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대화 및 토론을 제공



4. IPv6가 나타나게 된 이유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비효율적인 할당 및 무선 인터넷, 정보가전 등의 신규 IP 주소 수요로 인해 주소부족 문제로 인해 IPv4(32bit)의 대안으로 등장



5. IP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하고, IP 주소의 표현에 대해 설명

개방형 프로토콜로 누구나 표준화를 통해 제품 개발 가능

IP주소 표현은 8bit 4개영역을 으로 구분해서 32bit 표현



6. 서브넷을 사용하는 여섯가지 이유에 대해 설명

1) 네트워크 크기 감소

2) 네트워크 관리와 유지보수 용이

3) 어떤 회사나 기관에서 서로 다른 LAN 기술 수용 위해

4) 네트워크를 여러 그룹으로 분리할 필요성 때문

5) 관리의 유용성을 증대 위해

6) 점대점 링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 위해



7. DNS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웹사이트의 IP 주소도메인 주소를 이어주는 시스템이다

즉, 인터넷상의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이름 체계이다



8. 라우팅 3가지 기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1) 전방위 전송 – 최종 목적지로 전달되는 경로상에 패킷을 위치

2) 네트워크-특정 – 목적지 네트워크의 주소 자체를 사용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대체

3) 기정 라우팅 – 라우터에 목적지가 없는 다음 홉에 디폴트 값을 지정



9. TCP 전송특성 4가지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스트림 지향성, 강상회선 연결, 버퍼를 이용한 전송, 전이중 전송 연결

1) 스트림 지향성– 데이터 전송 단위가 옥텟, 바이트며 사용자 데이터를 스트림 형태 처리

2) 가상회선 연결 – 연결 지향 수송계층 프로토콜이며, 프로토콜 모듈은 먼저 연결 설정 과정을 실행 후 정상이면 데이터 전송이 가능

3) 버퍼를 이용한 전송 – 트래픽의 혼잡 최소화, 전송 효율을 위해 버퍼에 데이터 블록을 채운 후에 전송하는 방식

4) 전이중 전송 연결 – 양방향 전송 연결은 반대되는 방향성을 갖는 두 개의 독립적스트림의 흐름 생성



10. UDP의 특성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UDP는 TCP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스 대 프로세스 프로토콜이다

TCP와 달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11. 응용계층 프로토콜 및 서비스에 종류

FTP, SMTP, DHCP, HTTP, SNMP, DNS, Telnet, NFS 등

파일전송 프로토콜(FTP), 이메일 전달 프로토콜(SMTP),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 하이퍼텍스트 전달 프로토콜(HTTP),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도메인명 서비스(DNS), 원격 로그인(Telnet), 네트워크 파일시스템(NFS) 등



12. DHCP 개발배경을 설명

인터넷 사용의 급증으로 주소부족 때문에 IPv4를 IPv6로 해결했지만 사용화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전망 => 한정된 IP 주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을 위해 동적 IP기법인 DHCP기술 개발



13. DHCP 구조 및 동작을 그림

EMB000046645413 EMB000046645415



14. 무선네트워크 중 지그비, 블루투스, UWB, WIFI, LTE 에 대해 간단하게 한줄씩 설명

지그비 - 저비용저전력이라는 특성을 갖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 표준

블루투스 – 무선으로 음악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기술인 IEEE 802.15.1 기술

UWB – 초광대역 기술이며 초기는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었었다

WIFI –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하던 802.11b를 업그레이드한 802.11g가 2003년에 표준화되었다

LTE - WCDMA의 진보기술로서 무선 데이터통신 기술 표준이다



15. 네트워크 보안의 목표 3가지에 대해서 설명

1) 기밀성 – 중요한 정보가 승인되지 않은 사람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

2) 무결성 – 사용하는 정보가 정확하고, 고의적인 변경이 없는 것

3) 가용성 – 언제든지 인가된 사용자가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



16. 암호화 방식 2가지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1) 대칭키 –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와 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가 동일

2) 비대칭키 – 두 개의 다른 키를 사용하는 방식



17. 빅데이터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빅데이터는 데이터 수집, 관리,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의 수용 한계를 넘어서는 대량의 데이터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