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에서 테스트할 때 TIP(내부IP, 외부IP)
로컬IP로 서버를 열고, 클라를 열어서 테스트해보거나 외부IP에서 접속을 해보거나 등 테스트 경험 TIP
외부IP, 내부IP 란
인터넷은 TCP/IP 기반 네트워크로 연결된 거대한 통신망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는 고유한 IP 주소
를 가진다.
외부IP는 공인IP, 내부IP는 사설IP라고 부른다.
- 외부IP: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주소.
- 내부IP: 특정 네트워크(예: 공유기)에서 기기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
원리
-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은 라우터를 통해 공인IP를 할당받는다.
- 이 공인IP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해당 기기에 접근할 수 있다.
- 특정 네트워크(예: 공유기)는 내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기기 간 통신을 위해 내부IP를 사용한다.
- 내부IP는 서브네팅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자세한 서브넷 설명은 생략)
IP 확인 방법
-
내부IP:
cmd
실행 ->ipconfig
입력 -> IPv4 주소 확인. -
외부IP: 네이버에서 “내 IP” 검색 또는
192.168.0.1
로 공유기 접속 후 확인.
외부나 내부에서 접근법(실제 테스트 방법)
두 가지를 소개한다.
1. 내부IP에서 내부IP 접근 방법 (동일 공유기)
같은 네트워크(공유기) 사용 즉, 동일 와이파이(내부IP) 사용 시??
- 이미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 중이므로 외부IP에서 접근하는 게 아니며, 내부IP를 사용한다.
- 내부IP로 쉽게 접속이 가능하지만, Localhost로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본인 컴퓨터에서 서버를 열고 접속한 경우, Localhost는 내부IP로 매핑되므로 문제없이 접속 가능.
- 하지만 같은 공유기를 사용하는 다른 컴퓨터를 접속하려면, 해당 컴퓨터의 내부IP를 접속해야 한다. 따라서 Localhost(본인IP)로는 접속 불가능.
2. 외부IP에서 내부IP 접근 방법
외부IP에서 내부IP(서버) 접근 위한 설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여기서는 포트포워딩을 소개한다.
방화벽을 먼저 열어주는게 첫 번째고,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하는게 두 번째이다.
-
방화벽 설정
-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포트 설정 -> 내부 IP로 연결
-
공유기 설정
-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 -> 특정 포트로 들어온 요청을 원하는 내부IP로 연결
-
최종 동작
- 외부IP로 접속 시 설정한 포트를 통해 요청이 들어오면,
- 공유기가 해당 요청을 내부IP로 전달.
이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기기에 접근할 수 있다
댓글남기기